정보

유튜브 서비스 중단 이유 ???

준에이치 2014. 12. 29. 11:54
반응형

한국 유튜브(youtube) 중단 이유가 뭘까요?




12월 1일부터 국내에서 국내 7개 방송을 시청을 할수 없게 되었는데요

왜 국내 방송사는 유튜브 서비스를 중단을 한걸까요? 


유튜브는 2005년 2월 14일 처음 시작이 되었니다. 2월에 펠이팔 직원이었던 채트헐리( 현 유투브 사장), 스티브 천, 자웨드 카림( 현 퇴사), 3명이 공동으로 창업을 하였습니다.

2006년 10월 구글에 주식교환을 통해서 인수를 하면서 현재 세계최대의 동영상 사이트로 성장하게 됩니다. 


사용언어: 54개언어로도 등록 사용이 가능하며, 사용법도 간단합니다. 

영상화질: 와이드스크린과 HD영상 2048*1536의 화질까지 감상이 가능합니다. 


[ 유투브 미디어 인코닝 옵션비교 ]



인코팅 속도로 빠르고, 스트리밍속도도 상당히 빨라서, 동영상을 시청하기에 편리하게 되어있습니다.


[국내 동영상 스트리밍 점유율] 





2014년 10월의 동영상 점유율을 보면 (YouTube)가 약 80%로 압도적입니다, 판도라 3.09, 곰TV 2.54수준입니다. 

국내의 동영상 업체들이 거대공룡인 유튜브를 따라잡기란 어려워 보입니다.







2014년 12월 1일 이런 내용을 보셨을거에요~

앞으로는 한국방송을 볼 수가 없다는 이야기인데요. 단 한국의 IP에서만 볼 수 없으며 외국의 IP에서는 언제든지 시청이 가능합니다.

이렇게 서비스를 중지를 한 배경에는 수익때문입니다.


기존의 광고 수익 배당율은 6:4의 비율이였습니다. 방송사는 수익배당율을 더 높이려 했는데, 성사가 되지 않아서 콘텐츠 제공중단 카드를 선택한것으로 보입니다.

그리하여, 네이버 ( TV캐스트) 다음(TV팟)을 통해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.

그렇다면 다음과 네이버는 어떻게 계약조건을 성사를 시켰을까요? 


수익 배당율을 9:1로 높은 조건으로 성사되 된것 같습니다.

세계최대의 유튜브에서 국내의 방송을 볼 수 없게 됨에 따라 국내의 유저들의 반응 


출처 - 트위터










관련기사 및 글 링크


SBS-CJ E&M 등 유튜브 국내 서비스 중단, 왜?

방송사, 유튜브 버리고 포털로...옳은 결정일까?



SBS-MBC, 국내 유튜브 서비스 중단






반응형